영양성분-신체작용 이해하기
골다공증에 중요한 비타민 K
역사와 건강
2021. 6. 8. 02:48
728x90
비타민K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미량이지만 신체에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비타민K의 종류
- 비타민 K1 필로퀴논, phylloquinone: 대부분의 녹색 잎줄기채소나 유제품, 식물성 기름 등에 함유되어 있고, 혈액 응고 반응에 관여합니다.
- 비타민 K2 메나퀴논, menaquinone: 장 내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며 간을 제외한 혈관벽이나 뼈, 조직으로 전달됩니다.
- 비타민 K3 메나디온, menadione: 비타민K의 전조체로 권고하지 않는 합성품 형태입니다.
비타민K의 효과 및 기능
- 혈액응고 반응(K1): 비타민K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프로트롬빈 prothrombin을 생성시켜 혈액의 응고 반응이 가능하게 합니다.
- 골밀도 개선(K2): 뼈에 주로 존재하는 오스테오칼신 단백질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비타민으로 칼슘 등의 골격 무기물질들을 단단하게 부착하여 강력한 뼈 형성에는 필수적인 비타민입니다.
- 동맥경화 예방(K2): 비타민 K2는 동맥벽과 체조직에서 칼슘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유지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합니다.
728x90
비타민K가 많이 들어있는 식품
농촌진흥청 자료에 따르면 비타민K는 초록색 잎채소류, 해조류, 콩이나 콩 가공품, 그리고 녹차가루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 녹차가루(2900㎍)
- 김(마른 것 - 2600㎍)
- 케일(데친 것 - 820㎍)
- 미역(마른 것 - 660㎍)
- 나토(600㎍)
- 쑥갓(데친 것 - 460㎍)
- 쑥(데친 것 - 380㎍)
- 무청(삶은 것 - 370㎍)
- 취나물(생 것 - 360㎍)
- 부추 (데친 것 - 330㎍)
이 외에 브로콜리, 딸기, 키위, 오렌지, 또는 꽁치와 같은 등 푸른 생선 등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비타민K 일일 권장량 및 결핍 시 증상
비타민K의 일일 권장량은 성인의 경우 남성 75㎍, 여성 65㎍입니다. 그렇지만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500㎍을 섭취할 것을 권장합니다.
비타민K가 부족하게 되면 여러 가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위험성이 있지만 야채를 골고루 섭취하는 정상 성인에게는 결핍증이 거의 유발되지 않습니다.
- 비타민 K1: 지혈작용 결함으로 생명에 심각한 위험.
- 비타민 K2: 골다공증, 세포 손상, 동맥경화.
주의사항
- 비타민K는 지용성 비타민이지만 과잉 섭취 시 체외로 배출되어 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과다복용으로 체내에 일시적으로 쌓이게 될 경우 간이나 장, 쓸개 등에 질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비타민K는 초록색 잎채소나 해조류, 또는 대두나 낫또 등의 콩 가공품에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건강보조식품을 통해 보충하기보다는 매 시기 때마다 야채를 골고루 먹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만약 항혈액응고제인 와파린(쿠마딘)을 복용하는 사람이라면 과도한 비타민K의 섭취는 조심해야 하며 전문가와의 상의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블로그 역사와 건강
· 내용상 오류나 저작권에 관련한 문의, 그리고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h_h-2021@kakao.com로 연락 주세요.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저작권에 충돌되는 이미지나 내용 등은 위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