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와 건강 이야기
반려동물의 건강

자다가 가끔 한 쪽 눈을 뜨는 비둘기

by 역사와 건강 2021. 5. 5.
728x90

동물들은 어떻게 잠을 잘까요?

눈꺼풀이 없는 게나 파리, 잠자리나 뱀, 그리고 물고기 등은 그냥 눈을 뜨고 자는 것일까요, 아니면 아예 잠을 안 자는 것일까요?

일단 눈꺼풀이 없는 동물들도 잠을 잡니다. 눈을 뜨고. 물속에 사는 동물들도 잠을 자기는 하지만 그렇게 많이 자지는 않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반면 돌고래나 범고래 등은 코를 골면서 잔다고 확인되었습니다. 

두발가락 나무늘보, 출처: 위키피디아

그럼 하루 동안 제일 잠을 많이 자는 동물은 누구 일까요?

가장 잠을 많이 자는 동물은 ‚두발가락 나무늘보‘로 하루 평균 20시간, 거의 하루 종일 잠에 취해 있습니다. 그에 반해 기린은 약 2시간 정도입니다. 동물들의 잠은 생존의 위협 및 에너지 축적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먹이사슬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는 사자의 경우 사냥을 한 후 1시간 정도 배불리 먹고 나면 2-3일 정도는 지속적으로 잠을 잔다고 합니다. 결국 자신들을 죽일 천적은 아무도 없기 때문에 아무 두려움 없이 잠만 자면 되는 것입니다. 사자와 반대로 항상 잡아 먹힐 위험에 처해 있는 동물들은 하루 대부분의 시간 동안 깨어 있어야 합니다. 

사자가 2-3일 동안 큰 움직임 없이 잠을 자는 이유는 에너지 축적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사자나 호랑이의 경우 사냥 성공률이 20% 내외로 저조한데, 한 번 사냥에 성공하여 배를 채우고 나면 최대한 에너지 소모를 줄여야 생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코알라의 경우 주식은 유칼립투스 잎인데, 체내에 축적되는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결국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선택한 것이 활동을 자제하고 잠을 많이 자는 것입니다.

728x90

그럼 이러한 동물들은 어떻게 잠을 잘까요?

우리 사람처럼 렘수면과 비렘수면을 하면서 숙면을 취할까요?

맞습니다. 대부분의 척추동물들은 인간과 비슷하게 잠을 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가시두더지의 경우 렘수면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류의 경우 나무 위에서 적들이 보고 있는 순간에도 인간과 비슷한 수면 구조로 수면을 취합니다.  그 비밀은 새들이 가지고 있는 힘줄 구조에 있는데, 적들이 없을 만한 곳의 가지를 발톱으로 휘둘러 꽉 걸어 잡고 몸무게로 누르면 커다란 말근육이 아니어도 균형을 잡아 떨어지지 않고 편하게 잠을 잘 수 있다고 합니다.

돌고래

수면 연구가들이 주목한 포유류는 바로 돌고래나 범고래 같은 고래 중류입니다.

이 동물들은 뇌를 반으로 나눠서 반 씩 나눠서 숙면을 취하는데, 그 나머지는 반 쪽 뇌는 불침번을 서고 있습니다. 뇌만 반으로 나눠서 쉬는 것이 아니라 눈도 한쪽만 감고 잠을 잡니다.

재미있는 것은 범고래 새끼는 생후 첫 달에는 전혀 잠을 자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는 사람의 경우와 정 반대되는 것입니다.

더 재미있는 동물은 물개였습니다. 물개들은 지상에서 일반 육상 포유류와 비슷하게 잠깐의 렘수면과 비렘수면을 주기로 수면에 들어갔는데, 물속에서 잠을 자야 하는 상황이 되면 돌고래와 비슷하게 뇌를 반으로 나누어 반쪽만 잠을 잔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돌고래와 같이 물속에서 물개는 렘수면을 하지 않는다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결국 돌고래나 물개의 경우 물속에서는 다른 육상 동물들이 생존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잠을 줄였던 것처럼 적들의 출현이나 위험을 감시하기 위해 뇌를 반으로 나누어 잠을 자는 단일 반구 수면을 발전시켰던 것입니다.

 

동물의 경우 잠의 시간과 렘수면 시간은 각 종마다 서로서로 다르다고 합니다.

  수면시간 렘수면 눈감는 여부
박쥐 19.9 10 % 두 눈 다 감는다
고양이 13.2 26 % 두 눈 다 감는다
비둘기 11.9 8 % 가끔 한쪽 눈을 뜬다
11.8 10 % 가끔 한쪽 눈을 뜬다
10.7 29 % 두 눈 다 감는다
황제펭귄 10.5 13 % 가끔 한쪽 눈을 뜬다
오리 9.1 16 % 가끔 한쪽 눈을 뜬다
돼지 8.4 26 % 두 눈 다 감는다
4.0 19 % 두 눈 다 감는다
2.9 27 % 두 눈 다 감는다

 

감사합니다.

 

블로그 역사와 건강

 

 

· 내용상 오류나 저작권에 관련한 문의, 그리고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h_h-2021@kakao.com로 연락 주세요.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저작권에 충돌되는 이미지나 내용 등은 위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참고자료:

www.smithsonianmag.com/science-nature/the-stubborn-scientist-who-unraveled-a-mystery-of-the-night-91514538/
www.cell.com/current-biology/fulltext/S0960-9822(18)30624-9
de.wikipedia.org/wiki/Schlaf

728x90

'반려동물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수면 장애  (0) 2021.05.05
우리 강아지는 몇시간을 자야하나?  (0) 2021.05.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