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와 건강 이야기
반려동물의 건강

반려견 수면 장애

by 역사와 건강 2021. 5. 5.
728x90

반려견의 휴식

인간과 똑 같이 반려견에게도 잠은 활력 있는 하루와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반려견은 인간과 다르게 수면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수면을 포함한 휴식 전체가 중요한데, 성견의 경우 약 하루  16-18시간, 강아지나 아픈 반려견의 경우 18-20시간 이상 휴식과 수면이 필요합니다. 이 수치는 반려견의 종류와 체중, 그리고 환경에 따라서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려견에는 한 가지 걱정이 있습니다.

바로 '보호자가 자신을 버리지 않을까'하는 불안입니다. 그래서 혹시 자신이 중요한 것을 놓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며 작은 소리에도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결국 휴식과 수면 중에도 소리만 나면 자주 깨서 주변을 살피게 되는데, 이 본능 때문에 더욱더 휴식시간과 수면시간은 짧아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계속 긴장을 늦추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강아지 때부터 어떻게 휴식을 취하고 잠을 자야 좋은 것인지 배우지 못하고 성견이 돼도 그 습관대로 계속 충분한 휴식과 잠을 취하지 못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반려견의 심리상태나 몸의 컨디션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질병에 노출될 위험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반려견의 수면이 줄어들거나 휴식이 안정적이지 못하면 반려견도 인간과 같이 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 기분이 좋지 않거나 과도하게 흥분합니다.
  • 집중력과 행동에 이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신경질적이거나 흥분을 잘하게 됩니다.
  • 방향감각 장애
728x90

그럼 어떻게 해야 반려견이 평안한 휴식을 취할  있을까요?

1. 심리적 안정감

반려견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반려견으로 하여금 보호자와 안정적인 유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 안정적인 유대감은 수면시간이나 휴식시간에 반려견을 충분히 휴식하고 수면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건강을 유지시켜 줄 수 있습니다.

반려견이 휴식할 때는 보호자가 항상 근처에 있다는 확신을 주어야 합니다. 안 그러면 반려견은 아주 빨리 가족에서 제외되었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반려견에게 제일 좋은 장소는 벽을 뒤로하고 방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입니다.

만약 어린 강아지를 키우신다면 어릴 때부터 잠자는 습관, 휴식하는 습관을 잘 훈련시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2. 규칙적인 생활

반려견은 사람과 달리 깨어 있는 시간,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이 8시간 정도밖에 없습니다. 그 외의 시간은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자야 합니다.

반려견이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항상 일정한 시간에 식사나 놀이를 하고, 휴식 시간에는 안락한 환경 속에서 안정감을 갖아 불안감을 없애 주세요.

보호자의 필요에 따라 휴식 시간에 반려견을 깨워 산책을 가거나 놀이를 한다면 결국 반려견의 생활 리듬은 무너져 버릴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3. 반려견에게 맞는 휴식 및 수면 공간을 만들어 주세요.

반려견의 휴식과 수면을 방해하는 제일 큰 문제는 바로 소음입니다. 본능적인 불안 때문에 작은 소리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는데, 소음에 방해받지 않는 공간을 만들어 주세요.

또한 반려견은 햇볕과 환풍기로부터 보호되는 곳, 난방기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잠을 자야 합니다. 또한 다리를 쭉 펼 수 있도록 충분한 장소에 잠자리를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

반려견의 수면 패턴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겠지요.

반려견들이 가끔 자면서 경련을 일으키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데, 이는 반려견들이 꿈을 꾸는 과정에서 나오는 반등들로 아주 정상적인 것입니다. 이럴 때에는 반려견이 계속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안 그러면 반려견이 놀랄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반려견이 악몽을 꾸는 것 같으면 반려견의 코에서 약간의 간격을 두어 떨어져 있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주인의 냄새가 반려견을 깨울 수도 있고, 꿈속에서 또 다른 형태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려견이 평상시와 다르게 축 늘어져 있거나 잠을 자지 못할 경우에는 수의사에게 데려가 진찰을 받고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블로그 역사와 건강

 

 

 

· 내용상 오류나 저작권에 관련한 문의, 그리고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h_h-2021@kakao.com로 연락 주세요.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저작권에 충돌되는 이미지나 내용 등은 위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