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은 1796년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 Edward Jenner가 최초로 천연두 백신을 개발한 이후 역사상 가장 단기간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접종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은 중국 시노팜이 개발한 BBIBP-CorV를 필두로 전 세계적으로 약 2백여 개의 백신이 개발을 했거나 개발 중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전 세계적으로 9억 2천8백만 명 선이고, 우리나라도 4월 22일 현재 2백만 명을 넘어섰다고 질병관리청은 밝혔다.
AZ 백신 부작용 - 혈소판 감소 뇌정맥동혈전증 (CVST)
지금 백신과 보고된 부작용 사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혈전이 생기는 것인데, 그 중에서도 혈소판이 감소하며 발생한 뇌정맥동혈전증 (CVST)이다.
영국 BBC의 보고에 따르면 영국은 3월 24일까지 1800만 명이 백신 접종을 받았다. 이 중 30건의 혈전 사례가 보고되었고, 22건의 뇌정맥동혈전증이 발견되었으며 7명이 사망했음을 확인하였다.
급기야 4월 14일, 덴마크가 세계 최초로 AZ 백신 접종을 완전 중단했고 많은 국가가 60세나 55세미만 접종을 중단하였다. 아프리카 연합의 경우 자체 백신 조달 계획에서 AZ 백신을 완전 배제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30세 미만에서 접종 중단된 상태다.
옥스퍼드대 혈전관련 보고서
전 세계적으로 이렇게 AZ 백신에 대한 제한적 접종 또는 배제의 양상이 확대되는 가운데서 지난 15일 영국 옥스퍼드대는 5십만 건의 코로나 코흐트 격리 환자와 약 5십만 명의 백신 접종자들을 비교하여 뇌정맥동혈전증에 관련된 상관관계를 23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통해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감염은 혈전이 생길 수 있는 위험률을 약 100배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환자 백만명당 39명의 뇌정맥동혈전증 환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30%가 30세 미만이었다고 한다. 이 결과는 AZ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뇌정맥동혈전증 부작용 수치보다 약 5-10배 높은 수치다. 결과적으로 AZ 백신 접종이 현재 혈전으로 인한 부작용 사례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큰 이득이 있다는 반론이다.
옥스퍼드대가 공개한 이 보고서에 사용했던 구체적인 데이터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아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시선도 있다. 또한 옥스퍼드대학과 아스트라제네카가 합작으로 코로나-19 백신을 만들었기 때문에 이러한 방어적인 보고서를 발표한다는 비판도 있다.
부작용은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가능한가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백신 부작용은 일반적 의약품의 기준인 100만 명중 1명 정도보다는 높은 숫자이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사망자 수를 생각한다면, 그리고 지금 이 시간에도 계속 증가하는 감염자 수와 사망자 수를 생각한다면 이렇게 논의하는 것 자체가 ‘비합리적인 것 아닌가’하는 의문이 든다. 그리고 이 의문은 우리나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100만 명당 1.4명이라는 국내 상황과 비교하면 더욱더 커질 수밖에 없다.
추가로 고려해야 할 점은, 이 혈전이 발생할 경우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가능한가’이다.
지난 11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정례브리핑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혈전에 관련된 부작용은 항응고 치료가 가능한 질병으로 크게 염려가 되는 질병은 아닌 것이다. 더더욱 유럽에서 경험된 코로나-19 및 AZ 백신과 관련한 뇌정맥동혈전증의 사례들은 이 질병에 대한 국내 의료진들의 항응고 치료의 가능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예상한다.
역사상 가장 단기간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접종하고 있는 백신
이렇게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혈전 부작용 때문에 여러가지 의견을 내는 이유가 아마 역사상 가장 단기간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접종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예를 들어 자궁경부암인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대한 백신 중 하나인 가다실 주사의 경우, 독일 제약회사 머크가 공개한 보고에 따르면 부작용 건수가 10만 명당 2,500건으로 보고되었다. 부작용으로 전신통증 및 의식소실, 경련, 발작이나 심근염으로 인한 사망사례도 보고되었지만 사람들의 관심은 그다지 크지 않다.
반면 4월 22일 현재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전 세계적으로 3백만 명이 넘고 확진자가 1억 4천만 명이 넘은 이 상황에서 충분히 치료가 가능한 부작용에 대한 논의와 검증으로 4차 대확산을 태풍급으로 더욱더 키우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역사와 건강
참고자료:
www.zdf.de/nachrichten/panorama/corona-infektion-thrombose-studie-100.html
www.korea.kr/news/policyBriefingView.do?newsId=156445795
Cerebral venous thrombos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513,284 confirmed COVID-19 cases and a comparison with 489,871 people receiving a COVID-19 mRNA vaccine
· 내용상 오류나 저작권에 관련한 문의, 그리고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h_h-2021@kakao.com 로 연락 주세요.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저작권에 충돌되는 이미지나 내용 등은 위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건강_기획연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백신 총정리 (0) | 2021.04.27 |
---|---|
남자도 유방암? (0) | 2021.04.23 |
10-30대 사망원인 1위 – 자살 (0) | 2021.04.21 |
계속 증가하는 „난청“ 환자, 나도 혹시? (0) | 2021.04.21 |
알츠하이머로 인한 사망, 매년 꾸준히 증가. (0) | 2021.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