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유럽의 가장 큰 문제는 식량문제였습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구가 먹을 식량이 부족했던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했던 것이 바로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였습니다. 하버가 질소 비료를 만들기 전까지 유럽 사람들은 천연비료를 찾아 전 세계를 돌아다녔습니다.
이 질소는 공기 중에도 존재하는데, 질소가 산소를 만나고 뜨거운 열이 가해지면 자동적으로 유해가스인 이산화질소 NO2가 발생합니다. 자동차 배기가스도 마찬가지 원리입니다. 자동차 내연기관 속에서 열과 함께 산소와 질소가 결합하여 일산화질소가 생성되고, 이 일산화질소가 배출되면 공기 중 산소와 만나 이산화질소가 됩니다.
이렇게 공기 중에 있는 일산화질소는 바로 대기오염물질로 바뀌어 공해를 일으키지만 우리 몸에서 일산화질소는 몸 전체에 퍼져 있어 면역계에서 항암 및 항 미생물 작용을 하는 물질로 매우 중요한 화학물질입니다. 특히 온몸에 퍼져 있는 순환계인 혈관에서 혈소판 및 백혈구 응집을 억제함으로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도와주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 들수록 더욱더 중요한 성분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노벨상의 창시자이며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었던 알프레드 노벨도 심장병을 치료하기 위해 다이너마이트 원료인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e을 처방받았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니트로글리세린이 체내에서 일산화질소를 생성을 촉진하여 심혈관질환에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일산화질소 NO의 역할
그럼 일산화질소 NO가 체내에서 하는 일들을 알아볼까요?
우리 몸에 혈중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혈관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들이 발생합니다.
- 혈관 벽 내피세포에서 일산화질소 생산.
- 일산화질소가 세포 근육을 이완하는 효소 활성화.
- 활관 확장.
- 산소 공급 재개.
이 원리는 협심증 환자들이 아질산아밀과 니트로글리세린 약을 먹는 것과 동일한 것입니다. 이런 약리 과정 중 일산화질소는 수초 후 소멸되는데, 이를 장시간 머물게 한 것이 바로 발기부전으로 걱정하는 남성들을 위한 비아그라입니다. 처음 비아그라를 개발한 화이자사는 이 약을 협심증 치료제로 개발했는데, 복용한 환자들이 협심증 개선보다는 성생활이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토대로 비아그라를 생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일산화질소 NO의 효능과 부작용
일산화질소의 효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혈관 확장 기능으로 뇌출혈이나 협심증, 심근경색 등 예방.
- 혈액이 응고되는 혈전 발생 차단으로 동맥경화 예방.
- 면역력을 높이는 기능.
- 유전자 활성을 조절하는 신호 분자.
- 뇌신경 세포 간 교통을 조절하여 집중력, 정보 인식 기능, 기억력 강화.
- 혈관 확장으로 인한 해면체 내 혈류 유입을 극대화하여 발기 및 성적 흥분 고조.
- 소화기관 운동 기능 활성화로 소화기능 강화.
그렇지만 이렇게 좋은 일산화질소도 그 농도가 높아져서 많아지면 우리 몸을 공격하는 적군으로 바뀝니다. 일산화질소가 과잉 생산되면 아래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 혈류 흐름 방해로 심혈관계, 뇌혈관계 질병 유발.
- 면역세포 과잉 생성으로 자가면역질환이나 만성 염증성 질환 유발.
- 활성 산소 생성 촉진.
- 기억력 감소 및 뇌의 노화 초래.
특히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식이나 폭식을 해서 콜레스테롤이 많아지면 우리 몸은 스트레스 해소와 체내로 들어온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일산화질소를 다량 생산합니다. 이렇게 단시간에 생산된 다량의 일산화질소는 다시 한번 활성산소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우리 몸이 여러 가지 질병에 노출될 위험에 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과식이나 폭식 등을 조절하여 안정된 일산화질소를 공급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일산화질소 생성이 꼭 필요한 L-아르기닌
이렇게 중요한 일산화질소를 원활하게 생산하기 위해서 우리 몸이 필요한 요소는 바로 L-아르기닌 성분입니다. L-아르기닌은 아미노산의 하나로 보충제를 통한 섭취보다는 음식을 통한 섭취를 전문가들은 권하고 있습니다.
L-아르기닌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육류: 칠면조 가슴살, 돼지고기, 닭고기,
- 씨앗류: 호밖씨, 대마씨(햄프씨드).
- 콩 및 견과류: 대두, 검은콩, 렌틸콩, 병아리콩 등의 콩류와 땅콩 등의 견과류.
- 바다에서 자라는 녹조류의 일종인 스피룰리나.
- 유제품.
감사합니다.
블로그 역사와 건강
· 내용상 오류나 저작권에 관련한 문의, 그리고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h_h-2021@kakao.com 로 연락 주세요.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저작권에 충돌되는 이미지나 내용 등은 위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원문보기:
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106081708241&#csidx61d6bec758bb3e985f52ac9501ecbee
seehint.com/word.asp?no=11726
위키피디아
'영양성분-신체작용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D - 국민80%가 부족 (0) | 2021.06.08 |
---|---|
골다공증에 중요한 비타민 K (0) | 2021.06.08 |
포만감을 위한 착한 탄수화물 - 저항성 전분 Resistant starch (0) | 2021.05.24 |
왕성한 식욕의 브레이크 – 렙틴 호르몬 (0) | 2021.05.24 |
배꼽 시계 그렐린 Ghrelin 행복을 주다 (0) | 2021.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