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기는 12개월이 지나면서 점차 낮잠의 회수를 1회로 줄여갑니다. 대신 밤에 자는 시간이 길어지겠지요. 그러다가 점점 낮잠은 베이비들만 자는 것이라고 하면서 싫어하게 됩니다. 또는 아빠 엄마와의 놀이가 너무 재미있어서 낮 잠자는 시간이 아까울 정도로 계속 놀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혹 자신이 자고 있는 동안에 혹시 새로운 일이 생기지 않나 하는 호기심도 생깁니다.
결국 피곤해도 낮 잠을 안 자려고 엄마와 줄다리기를 할 수 밖에 없지요.
일단 제일 중요한 것은 2-3살의 영아는 약 12-13시간 정도는 잠을 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낮잠에 대해서는 아이와 이야기하여 아이 자신이 결정하도록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낮잠을 자지 않으려고 한다면 먼저 아래 사항들을 체크한 후 아이와 상의하여 아이의 의견에 존중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피곤 정도
때로 아이들은 더 많이 놀기 위해서 낮잠을 안 자려고 합니다. 이 경우 만약 아이가 피곤하지만 않다면 아이의 의견에 존중하여 낮잠을 안재우는 것도 가능합니다.
아이의 하루 수면 시간
제일 중요한 것은 연령대에 맞는 수면 시간입니다.
수면 시간은 아이의 성장 및 발육, 그리고 인지 발달에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수면은 매번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습관으로 쌓여야만 더 나이가 들어 공부를 시작할 때 큰 효과로 작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전체 수면 시간과 수면 습관입니다. 전체 수면 시간을 생각하며 아이와 낮 잠에 대해서 논의하고 결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낮잠과 밤 수면의 관계
제일 중요한 것은 밤에 자는 잠입니다. 만약 낮잠 때문에 아이가 밤 잠을 설치거나 밤 수면 시간이 줄어든다면 오히려 낮잠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 좋습니다. 낮 잠을 없애도 아이가 낮에 놀이를 하거나 하루 일과를 보내는데 무리가 없다면 아이와 상의 후 아이의 결정에 따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아이의 전체 수면 시간 속에서 낮잠을 생각해야 하며, 아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같이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낮잠을 안자는 대신 약간 차분히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제안하는 것도 좋은 대체 수단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멀리하고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듣는 등 활동적이지 않는 소일거리를 하며 안정을 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언제 잠자러 들어가야 하나요?

아이가 잠자러 가는 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아이가 아침이 일어나는 시간입니다.
일어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아이가 평균적으로 자야 하는 시간을 뺀 시간이 바로 잠자리에 들어가는 시간인데, 그 시간보다 약 30 분 정도 일찍 들어가 심적인 안정을 취하고 하루를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는 것도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한 가지 더 고려해야 할 사항은 아이의 수면 패턴입니다.
어른의 경우에도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이 있듯이 아이들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유형이 있고, 또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는 유형이 있습니다. 어떤 유형이 내 아이에 맞는지 체크하여 전체 수면시간과 잠자리에 들어가는 시간 등을 결정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아이들은 더 늦게 자려고 떼를 쓰고 안간힘을 쓰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규칙을 설명하고 단호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혹시 혼자만 침대에 눕는 것이 '혹 자신이 어떤 재미있는 것을 놓치지 않나'하는 불안감을 들게 할 수 있는데, 이때는 엄마나 아빠가 함께 침대로 가서 책을 읽어주거나 같이 이야기 하며 하루를 정리하면 아이의 관심이 다른 곳으로 집중될 수 있고, 또 심적인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규칙에는 예외가 있을 수 있기 마련이지요. 예를 들어 주말이나 손님이 왔을 경우 아이들에게 예외를 적용해 주면 그 예외 상황 때문에 더욱 규칙을 잘 지키려고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블로그 역사와 건강
· 내용상 오류나 저작권에 관련한 문의, 그리고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h_h-2021@kakao.com로 연락 주세요.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저작권에 충돌되는 이미지나 내용 등은 위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아기와 어린이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가 코를 너무 고는데, 혹시 수면무호흡증? (0) | 2021.05.08 |
---|---|
좋은 아기 수면 습관 만들기 (0) | 2021.05.08 |
아기가 너무 보채고 잠을 안 자요 (ToT) (0) | 2021.05.08 |
아기를 엄마 아빠 방에서 함께 재워도 될까요? (0) | 2021.05.08 |
아기 돌연사, 이렇게 막아야 합니다. (0) | 2021.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