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와 건강 이야기
건강_슈퍼푸드_Superfood

울금 이야기

by 역사와 건강 2021. 4. 10.
728x90

`Superfood CurCuma

 

인도의 만병 통치약 울금 이야기

 

울금으로 요리한 밥

서양에서 울금은 사프란 뿌리, 노란 뿌리, 또는 커큐민이나 쿠르쿠마라고 부르며 전통적으로 식용 색소나 부활절 달걀 색소로 사용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이나 동의보감 등에도 등장하는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식재료입니다.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덕만은 아랍상인에게 배운 지식으로 울금으로 가리, 카리판(커리)을 만들어 위기를 모면하는 내용도 등장합니다.

 

드라마 선덕여왕 울금 장면

이 울금의 기원은 인도로, 인도에서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등장하는 약재로 만병통치약과 같이 효능이 다양한 식물입니다. 인도에서 커리는 여러 가지 종류의 향신료와 식재료를 섞은 음식인데, 이 카레의 주원료이기도 합니다.

현대에는 암에 대한 효능 때문에 동양 및 서양에서 관심을 갖고 임상실험을 실시하거나 또는 건강보조식품이 아닌 의약품으로 제조하려고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울금에 대한 이야기 시작합니다.

 

울금과 강황?

울금, curcuma

인도에서나 우리나라 선조들은 울금과 강황을 구분하였습니다.

문제는 울금이나 강황 모두 생강과에 속하는 같은 식물 Curcuma의 산물입니다. 학명은 Curcuma aromatica라는 식물인데, 이 식물의 뿌리 중 뿌리와 줄기가 연결된 부분을 강황, 그리고 덩이뿌리를 ‚울금‘이라고 구분하였습니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울금과 강황을 구분하지 않고 대부분 curcuma 또는 커큐민 Curcumin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울금의 효능과 의학계의 견해

동양의학 약재 제조과정

울금의 효능은 다양합니다. 면역, 노화방지, 항암 등과 관련하여 성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도 피를 좋게 해 주는 약재료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도 주목하는 부분은 항 염증, 항산화, 뇌 질환 위험 감소, 심장질환 위험 감소, 암 예방, 위와 장내 지방분해 기능 등입니다.

 

이렇게 블로그나 건강보조식품 제조사들이 소개하는 울금의 효능만 본다면 정말 만병통치약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는 2019년 한 해에 올금과 관련한 논문이 1,916편이나 나온 것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본 이미지는 글의 내용과 상관이 없습니다. 

그럼 의학계의 결론은 무엇일까요?

일단 독일 의학계, 특히 암 관련 기관에서는 부정적인 의견입니다. 왜냐하면, 유방암 환자를 통한 임상실험에서 뚜렷한 결과를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성능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적이며 오히려 아토피성 피부 트러블이나 두드러기, 또는 간의 염증반응 등과 같은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났습니다.

 

물론 아직도 여러 나라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건강보조식품으로, 또는 의약품으로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커큐민의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칼럼니스트 신긍정 님이 소개한 것처럼 각국에서 커큐민의 흡수력을 높여 의약품으로 제품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의료 선진국인 독일에서는 비타민 D를 첨가한 건강보조식품에 대해서 ‚면역력 강화‘라는 광고 문구를 금지하였을 뿐 아니라 EU에서는 „커큐민이 관절 기능에 도움이 된다“라는 문구 사용을 금지하였습니다.

 

 

결론 – 문제는 섭취량과 방법

몇 천년 전부터 인도나 우리나라에서 민간요법이나 동양의학에서 약재료로 사용되어왔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이 울금이 효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그 효능이 뚜렷하게 증명되지 않았으며 여러 가지 부작용이 보고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울금을 어떻게 그리고 얼마큼 섭취할 것인가‘이다. 그리고 ‚어떤 경우, 또는 어떤 사람은 섭취하면 안 되는가‘도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한다면, 효능이 많지만 그 효능을 위해서는 많은 양을 섭취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부작용이 뒤따르게 됩니다. 또한 환자에게 치료용으로 복용하는 것은 의사와 상의 후 결정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소량을 향신료로 음식에 첨가하여 섭취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의사와 상담

울금에 대한 기본 정보

원산지

인도, 파키스탄 등지 아시아에 있는 열대지역

효능

항 염증, 항산화, 뇌 질환 위험 감소, 심장질환 위험 감소, 암 예방, 간기능 활성, 위와 장내 지방분해 기능, 피로 해소

부작용

아토피 반응, 두드러기, 간 염증 수치 상승, 설사

섭취량 및 방법

고용량의 건강보조식품보다는 식품 조리 시 향신료로 사용

보관방법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

주의사항

임산부나 모유 수중에는 이러한 건강보조식품은 삼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담석증이 있는 분들은 더더욱 울금이나 강황으로 된 건강보조식품을 삼가야 합니다. 왜냐하면 담즙이 더욱 활성화되어 담석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자료:

www.krebsinformationsdienst.de/fachkreise/nachrichten/2019/fk14-curcumin-kurkuma-krebs.php

www.fitforfun.de/abnehmen/superfood/camu-camu-superfood-aus-suedamerika-324209.html

www.verbraucherzentrale.de/wissen/lebensmittel/nahrungsergaenzungsmittel/kurkuma-eine-pflanze-fuer-alle-faelle-13696

www.bfarm.de/SharedDocs/Downloads/DE/Arzneimittel/Zulassung/ZulRelThemen/abgrenzung/Expertenkommission/stellungnahmen/2020-02.html

www.en.wikipedia.org/wiki/Turmeric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