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와 건강 이야기
건강_기획연재

꾸준히 증가하는 폐암 – 발병 후 사망률 85%

by 역사와 건강 2021. 4. 21.
728x90

폐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83년도 이래 대한민국 사망 원인 1위는 악성 신생물, 즉 암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40대 이상에서 부동의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였고 10-30대에서도 자살을 제외한 사망원인을 살펴보면 암이 1위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가장 주목할 암은 폐암으로 2천 년대 이후부터는 위암을 앞질러 지난 20년 동안 부동의 1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폐암은 전 세계적으로도 매년 176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부동의 사망원인 1위로, 발생자 수 대비 사망자 수가 85%를 넘는 무서운 암종으로 알려졌다.

 

폐암의 가장 큰 원인은 흡연이지만 이 같은 생활요인 외에도 석면, 비소, 크롬 등 유독성 물질에 장기적 노출이 될 경우에도 폐암이 걸릴 수 있다. 폐암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이 외에도 우라늄과 라돈 같은 방사성 물질이나 유전적 요인, 그리고 우리가 음식이나 조리 시 흡수할 수 있는 벤조피렌 또는 알데히드 같은 환경호르몬을 들 수 있다. 특히 고기나 생선의 직화구이를 선호하고 튀김 요리를 많이 먹는 우리나라 식문화에서는 더욱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금연

폐암은 재발이나 전이가 많고 완치율이 낮아서 다른 암에 비해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일 좋은 예방법은 금연이나 유독성 물질에 노출되지 않게 생활 환경이나 식 문화 등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폐암에서 제일 문제는 초기 증상이 없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기 검진을 통해 빨리 발견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 한다.

 

· 내용상 오류나 저작권에 관련한 문의, 그리고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h_h-2021@kakao.com 로 연락 주세요.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합니다. 저작권에 충돌되는 이미지나 내용 등은 위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참고자료:

식품안전 정보원

식품의약품 안전처

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2181kjhp/kjhp-19-161.pdf

728x90

댓글